본문 바로가기

트렌드+/해외 식품 동향

베트남의 신한류를 이용한 한국 외식프랜차이즈 진출방안

SBS의 예능프로그램 '런닝맨'의 아시아 레이스 특집 2탄 '베트남'편을 보셨다면, 베트남 현지에서 한류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을텐데요. 특히 하노이 최대 번화가에서 진행된 '못 하이 바' 미션 때에는 구름팬이 몰려 미션을 진행하기도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듯, 현지에서 유행하고 있는 한류를 기반으로 한 식음료, 미용 등의 프랜차이즈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되고, 특히 한류스타를 활용한 화장품, 의류, 신발 등 패션 소매유통 분야와 뷰티케어 시장공략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베트남의 新한류, 외식프랜차이즈 진출방안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본격적인 호황기를 맞는 프랜차이즈 시장


베트남은 주변국 대비 규모는 다소 작지만 성장잠재력이 높은 시장입니다. 베트남에는 약 120개의 해외 및 로컬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존재하며 이줒ㅇ 80%가 외국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해당되는데요. 프랜차이즈 시장규모는 연평균 20-30% 성장 중이며 2009년 시장규모는 3.6억 달러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신생시장이지만 급속히 성장 중입니다. WTO개방 일정에 따라 2009년부터 베트남 프랜차이즈 시장이 전면적으로 개방되면서 외국계 프랜차이즈의 단독진출이 허용되었고, 프랜차이즈 관련 법률 또한 국제적인 수준으로 개정되어 베트남 프랜차이즈 산업은 향후 본격적인 호황기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프랜차이즈 브랜드


-패스트푸드 : 버거킹, 피자헛, 롯데리아, 서브웨이, 도미노피자, Carl's Jr, Hard Rock Cafe, KFC

-커피전문점 : The Coffe Bean & Tea Leaf, Gloria Jean's Coffe, 스타벅스

-베이커리 : 뚜레쥬르

-소매패션 : Gap, Topshop&Topman, BVLGARI 등



  급성장하는 소비규모, 베트남 소비 시장 


OECD자료에 따르면 베트남 중산층의 규모는 2012년 800만 달러에서 2030년 9500만 달러로 급성장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소비 규모 역시 현재 460억 달러에서 2030년 940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답니다. 


[베트남 중산층 및 소비 증가 예상 다이어그램]


#베트남 프랜차이즈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이유


1. 9천만 명의 인구로 동남아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선호하는 젊은 층(30세 이하)가 전체 인구의 50%를 차지


2. 베트남은 아직 중·저소득 국가이지만 1인당 GDP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7.6%이상 성장하였으며 태국, 필리핀 대비 성장속도가 빠른 추세


3. 중산층수의 증가로 고소득 가구의 경우 좋은 품질의 외국산 제품을 사용하는 추세


4. 젊은이들은 외국 문화와 한류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어 한국 브랜드 선호도가 높다는 점에서 긍정적



  외식서비스 분야의 시장성은 어떠할까  


Euromonitor에 따르면 베트남의 1인당 식품 및 비주류 음료 지출액은 2012~2016년 연 7%성장해 2016년까지 276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지출액은 도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서구화됨에 따라 성장세가 유지될 듯한데요. 


베트남 식품 서비스 부분은 40만 개의 노점, 6000여 개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7만 4000개의 레스토랑, 1만 7700개의 카페 & 바, 1만 개 이상의 호텔, 리조트를 포함하는 50만 개의 점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시주민의 수요 및 신규개발 상업지구, 아파트로 외식 점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2011년 패스트푸드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0% 상승한 8700억 동(410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대부분 외국 브랜드(KFC, 롯데리아)가 베트남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호찌민시 주요 패스트푸드사 운영 현황]



  진출 유망 분야와 진출 시 유의사항


베트남 기업은 최근 주춤한 경제 성장의 대처 방안으로서 고품질 외국 브랜드를 도입하는 것이 사업 리스크를 낮추고 어느 정도 규모의 고객층을 보장해준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해외 프랜차이즈 모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2015년 1월 이후로는 호텔 및 요식업 분야에서 WTO 양허안에 따른 외국인 100% 단독투자가 가능해지므로 다국적 요식업 브랜드가 베트남에 대거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베트남 시장에 관심있는 국산 브랜드는 시장조사 등 사전에 진출준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진입 유망 분야


개인소득이 커짐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는 분야 : 소매, 편의점,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퀵서비스 식당, 뷰티 및 스킨케어, 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패션, 교육, 유아 서비스, 컨설팅 


그러나 베트남에서 프랜차이즈 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법적인 보호 장치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012년 베트남의 재산권 지수(International property right index)는 130개국 중 109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이는 프랜차이즈 시장에 대한 정부 보호 장치가 불충분하고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유로 다수의 국내외 프랜차이저들은 투자를 꺼려오기도 했고요. 


그렇기 때문에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조속히 브랜드명과 상표를 등록하고 지적재산권 침해자에 법적 조취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유명 브랜드 및 좋은 아이템이라고 해서 단기간에 수익을 보장받지 못하며 충분한 시장전략 없이는 성공적인 안착이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이프 스타일, 메뉴, 주변 상권 및 주택, 임대료, 유동인구, 판매 가격을 정교하게 수립해 시장 진입을 시도할 필요가 있습니다.